본문 바로가기

신소재공학(新素材工学)/고분자(高分子)

묽은 용액과 콜로이드 용액의 성질

묽은 용액과 콜로이드 용액의 성질

. 묽은 용액

묽은 용액의 비등점 상승과 빙점 강하

비휘발성 물질이 녹여 있는 용액의 비등점은 순수한 용매일 때 보다 높고, 빙점은 낮아진다.

비등점 상승도(Tb)와 빙점 승승도(Tf)

비등점 상승도(Tb) = 용액의 비등점 - 순용매의 비등점

빙점 승승도(Tf) = 순용매의 빙점 - 용액의 빙점

라울의 법칙(Raoult's law)

묽은 용액에서 비등점 상승도(Tb)와 빙점 상승도(Tf)는 그 물질의 몰랄 농도(m)에 비례한다.

비등점 상승도(Tb) = m × Kb(몰오름)

빙점 승승도(Tf) = m × Kf(몰내림)

Kb(몰오름) : 1몰랄 농도 용액의 비등점 상승도(KbH2O=0.52)

Kf(몰내림) : 1몰랄 농도 용액의 비등점 강하도(KfH2O=1.86)

삼투압과 반트 호프의 법칙(Van't Hoff's law)

삼투압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용매와 용액을 접촉시킬 경우 양쪽의 농도가 같게 되려고 용매가 용액쪽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삼투라고 하고, 이때 생기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반트 호프의 법칙(Van't Hoff's law)

비전해질의 묽은 용액의 삼투압(P)은 용매와 용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액의 몰 농도와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 콜로이드 용액

콜로이드 용액

진용액(용존물질)과 현탁액(부유물질)의 중간 크기(10-7~10-5cm) 정도의 입자를 콜로이드라고 하는데 이 입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콜로이드 용액이라고 한다.

콜로이드의 종류

소수 콜로이드

주로 무기물질로서 물과의 친화력이 작고, 소량의 전해질에 의해 응석이 잘 일어난다.

친수 콜로이드

주로 유기물질로서 물과의 친화력이 크고, 다량의 전해질에 의해 염석이 잘 일어난다.

보호 콜로이드

불안정한 소수 콜로이드에 안정한 친수 콜로이드를 가하면 친수 콜로이드가 소수 콜로이드를 둘러써서 안정하게 하여 응석이 잘 일어나지 않게 하는 콜로이드

) 먹물 속의 아교, 잉크속의 아라비아 고무

콜로이드 용액의 성질

틴들(tyndall) 현상

콜로이드 입자가 입자의 산란성에 의해 빛의 진로가 보이는 현상

브라운 운동

콜로이드 입자가 용매 분자의 불균일한 충돌을 받아서 불규칙한 운동을 보이는 현상

투석(dialysis)

반투막을 이용하여 분자, 이온, 콜로이드 입자를 분리시키려는 방법

흡착

콜로이드 입자는 흡착력이 강하므로 그 흡착력을 이용하여 수질 오염의 정제에 사용

전기영동

콜로이드 용액에 (+)(-)의 전극을 넣고, 직류 전압을 걸어주면 콜로이드 입자가 한쪽 극으로 쏠리는 현상

응석과 염석

콜로이드 용액에 전해질을 넣었을때 생기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