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소재공학(新素材工学)/자료실(資料室)

SI단위계, 해설 한글 파일은 SI단위계 입니다. PDF 파일은 SI단위계 해설집 입니다. 더보기
다양한 정보가 기입된 주기율표(Periodic Table) 직접 제작한 주기율표 입니다. 영문이름, 한글이름, 질량, 기저상태배열, 이온화에너지, 밀도, 용융점, 끓는점, 전자친화도 정보를 기입했습니다. 많은양의 정보를 기입하다 보니 글자 포인트가 매우 작습니다. 인쇄시에는 A4용지 4장에 인쇄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보기
반응공학 반응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가 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공식이 좀 많습니다. 더보기
NaOH 표준용액의 조제 ◎ 실험제목: NaOH 표준용액의 조제 ◎ 실험목적 1) 표준용액의 정의를 알 수 있다. 2) 농도의 종류 및 개념을 이해한다. 3) NaOH 표준용액을 조제할 수 있다. ◎ 실험원리 - 농도를 알지 못하고 있는 산(acid)의 농도를 알아내려면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염기 수용액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염기(base) 수용액의 농도를 밝히고자 할 때는 산의 정확한 농도를 먼저 정하여야 한다. 이 때 농도가 정확히 결정된 수용액을 표준용액(standard solution) 이라 한다. 또한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정량적으로 중화되어 염과 물이 생긴다. HCl + NaOH → NaCl + H2O ★ 유의사항 - 진한 NaOH 수용액은 유리를 부식시킨다. 특히 갈아 맞춘 곳은 더욱 심하게 부식된다. 그러므로.. 더보기
산-염기 적정(Acid-base Titration) ◎ 실험제목: 산-염기 적정(Acid-base Titration) ◎ 실험목적 1)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해한다. 2) 적정에 관하여 이해한다. 3) 당량에 대하여 이해한다. ◎ 실험원리 - 많은 종류의 화학 분석은 적정(titration)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이것을 노르말농도를 미리 알고 있는 표준 시약을 미지 시료에 가하는 방법이다. 미지 시료와 완전히 반응하는 표준 시약의 부피를 정확히 측정하면, 미지 시료의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미지 시료와 완전히 반응하는 표준 시약의 부피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당량점(end point)을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 지시약(indicator)이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정량적으로 중화되어 .. 더보기
산소의 제법과 성질 ◎ 실험제목: 산소의 제법과 성질 ◎ 실험목적 1) 이산화망간을 촉매로 염소산칼륨을 열분해 시켜 산소를 얻는다. 2) 산소의 화학적인 성질을 확인한다. ◎ 실험원리 - 실험에서 산소를 만드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염소산칼륨을 분해시키는 것으로서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표시된다. 2KClO3(s) → 2KCl(s) + 3O2(g) 이 반응은 이산화망간과 같은 촉매에 의해서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촉매란 반응의 속도는 변화시키지만 자기 자신은 변하지 않고 반응 후에 회수될 수 있는 물질이다. 발생되는 산소는 일반적으로 물과 치환시키는 수상포집법으로 받아 모을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비금속 원소인 유황(S)과 금속 원소인 마그네슘(Mg)을 자신이 만든 산소 중에서 연소시켜 그 산화물의 성질과 산화.. 더보기
아스피린 제조 아스피린 제조 실험목적 1. 해열제 또는 진통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을 합성해 본다. 2. 아스피린의 합성을 통해 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해한다. 이 론 에스테르는 중요한 유기화합물이다. 대부분의 에스테르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꽃, 식물, 과일의 냄새와 맛을 내 는 원인이 된다. 또한 페인트, 광택제, 액체아교, 등의 용매로서 공업적으로 사용된다. 에스테르는 알코올과 유기산을 반응시키면 생성된다. 이 때 물 한 분자가 생긴다. 여기서 R과 R′은 methyl(CH₃), ethyl(C₂H₅)등이다. 간단한 두 분자가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분자가 생성되는 이러한 반응을 축합반응이라 한다. 흔히 에스테르는 에탄올과 식초산(아세트산)으로부터 생긴 에틸아세테이트라 하기도 한다. 에스테르는 과량의 물을 넣고.. 더보기
색이 변하는 액체 색이 변하는 액체 실험목적 지시약의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하여 익힌다. 실험 1 실험원리 메틸렌블루는 산화환원지시약으로 산소와 만나는 산화가 되면 푸른색으로 변하고, 산소가 빠져나가는 환원이 되면 무색으로 변한다. 염기성용액에서 포도당은 환원성을 지니고 있어서 여기에 메틸렌블루를 넣으면 처음엔 산소와 만나 푸른색을 띠다가 산화한 포도당에 인해 환원되어 무색을 띠게 된다. 이 상태에선 플라스크를 흔들면 플라스크 내부의 산소가 용액 속으로 들어가 메틸렌블루를 산화시켜 푸른색으로 변하게 되고, 가만히 두면 용액 속 메틸렌블루가 다시 환원되어 무색을 띠게 되는 반응이 반복된다. ☸ 산화란? ․ 산소와의 결합 ․ 수소의 떨어져 나감 ․ 산화수의 증가(전자의 수가 줄어듦)로 인해 나타나는 화학변화 → 예) 공기 중에.. 더보기
유전체, 자성체 재료 PPT파일은 유전체, 자성체에 대한 자료가 아닌 그들의 재료에 대한 자료입니다. 물론 기본 개념들은 정리 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촉매에 의한 반응속도의 변화 촉매에 의한 반응속도의 변화 실험목적 촉매에 의한 반응속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촉매의 작용을 확인한다. 실험원리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이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한 가지 화합물에서 다른 화합물로 결합이 변할 때 에너지가 높은 상태 즉 불안정한 상태인 전이 상태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반응물과 전이 상태의 에너지 차이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부른다. 반응물들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것부터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것까지 다양한 상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상태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 볼츠만 분포라고 불리는 식이다. 이렇게 다양한 상태에 있는 분자들 가운데 활성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분자는 반응이 일어날 수 있지만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분자는.. 더보기